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체인 교체 과정 방법 공부 및 툴

자전거생활

by 신농해태 2021. 10. 27. 14:30

본문

반응형

2인용 자전거의 라이딩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체인링을 교체하려고 합니다. 

즉, 기존의 체인링을 톱니 수가 많은, 더 큰 체인링으로 교체하고자 합니다. 

 

체인링이 더 커지는 만큼 체인의 길이가 길어야하므로

체인도 함께 교체해줘야합니다.

 

체인을 교체하는 과정 또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준비해야할 툴 또는 도구는 어떤 것이 있는지도 함께 알아보고

준비하고자 하였습니다. 

 

우선, 체인 교체 작업에 필요한 툴은 체인 플라이어, 체인 커터, 체인 홀더 철사 또는 체인훅 입니다.

그리고 미리 준비해야할 것으로는 교체할 체인 연결핀과 체인 링크와 체인 입니다.  

체인은 체인 연결핀과 체인링크 2가지 방법으로 연결됩니다. 

 

체인 연결핀 또는 마스터핀은 기존의 핀이 빠진 자리에 마스터핀을 박아 넣는 방식입니다. 

체인의 양 끝이 맞물리는지 먼저 확인합니다. 

체인의 양 끝을 맞물리도록 한 후 공통으로 만나서 비어있는 구멍에 마스터핀을 끼웁니다. 

마스터핀을 넣은 후 체인 커터를 사용하여 핀을 천천히 밀어 넣어줍니다. 

마스터핀과 체인이 정확히 수직방향이 되도록 방향을 잘 잡아줘서, 체인의 플레이트가 휘지 않도록 해줍니다. 

진행 과정중에 빡 소리가 나더라도 마스터핀이 모두 다 들어갈 때 까지 밀어넣어야 합니다. 

마스터핀이 다른 핀과 같은 깊이만큼 들어가면, 체인 커터 툴을 빼줍니다. 

반대편에 튀어나온 꼭지는 니퍼 등의 툴로 꺽어서 부러트려서 제거해줍니다. 

 

체인링크는 새로운 마디를 만들어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요즘 대부분의 체인은 체인 링크를 사용하고 있는데,

정비할 때 매우 편리하고 

마스터핀 방식과 달리 재사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체인링크 방식의 체인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체인 링크를 찾습니다. 

체인링크가 완전히 느슨해지도록, 체인링크를 중심으로 1개 또는 2개를 건너서 양쪽 체인에 체인 홀더 철사를 걸어줍니다. 

체인 플라이어로 체인링크의 양쪽을 집어서 꾹 눌러 체인 링크를 풀어서 체인을 끊어줍니다. 

끊어된 체인 끝에 조립된 체인 링크를 별도로 빼서 분리합니다. 

체인 링크는 2개가 조립되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체인링크를 이용하여 다시 체인을 결합할 때에는,

끊어진 체인 양쪽을 체인 홀더 철사를 끼워 걸어서 임시적으로 연결하여 체인 결합 작업이 편하도록 합니다. 

체인 양 끝에 체인 링크를 연결한 후, 체인 링크 양쪽도 임시적으로 손으로 끼워서 결합니다. 

체인링에 양쪽 주변의 핀 사이에 체인 플라이어를 넣어주고, 체인플라이어를 벌려서 체인링이 딱소리나면서 결합될때까지 벌려줍니다. 

체인 양쪽에 걸어둘었던 체인 홀더 철사를 분리합니다.

뒷 바퀴 브레이크를 잡거나 뒷 바퀴를 잡고 페달을 앞으로 돌리면 탕 소리와 함께 체인링크가 완전히 결합됩니다.  

 

체인을 교체할 때는,

우선 체인의 텐션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체인을 가장 작은 톱니로 위치합니다. 

즉, 체인을 가장 작은 체인링으로 위치시키고 스프라켓에서 가장 작은 코그로 위치시키도록 합니다. 

 

또한, 글로 설명하기 어려우면서도 중요한 과정 중 하나는,

교체하려고 준비한 체인의 길이를 자전거에 알맞는 적절한 길이로 커팅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체인을 장착한 이후 5000km 정도를 주행하면 체인이 늘어나므로 교체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렇게 대략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체인링과 체인링을 교체하기 전에 미리 공부해봤습니다. 

728x90
LIST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